콜라는 언제, 어디서 처음 만들어졌을까?
콜라는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상징적인 음료 중 하나입니다. 그 기원은 1886년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약사 존 펨버턴(John Pemberton)이 만든 약용 음료로부터 시작됐습니다. 처음에는 코카잎과 콜라넛(카페인이 풍부한 열매)을 섞어 만든 일종의 강장제로, 두통과 피로회복에 효과가 있다고 여겨졌습니다. 당시 ‘코카-콜라(Coca-Cola)’라는 이름도 여기서 유래했죠.
콜라가 음료로 대중화된 것은 1890년대부터이며, 병에 담겨 유통되기 시작한 것은 1894년부터입니다. 이후 펩시콜라(Pepsi-Cola), 로열크라운(RC Cola) 등 다양한 브랜드가 등장하며 전 세계로 확산됐습니다. 지금은 단순한 음료를 넘어 하나의 문화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한국에 콜라는 언제 들어왔을까?
대한민국에 콜라가 처음 등장한 시기는 1950년대 말, 미군을 통해서였습니다. 정확히는 1957년 미8군이 한국에서 코카콜라를 공급하며 주둔지 내에서 소비되기 시작했으며, 일반 대중에게 판매된 것은 1960년대 초였습니다. 1968년 롯데칠성음료가 펩시와 기술 제휴를 맺고 본격적으로 국내 생산에 들어가면서 시장은 빠르게 확대되었습니다. 이후 1974년 코카콜라도 한국코카콜라를 통해 국내 생산에 돌입하며 본격적인 양강 체제가 시작됐습니다.
당시에는 콜라가 ‘미제’의 상징처럼 여겨졌고, 고급 음료로 취급되기도 했습니다. 현재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기는 국민 탄산음료가 되었으며, 패스트푸드 및 편의점 문화와 함께 일상 속에 깊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콜라, 종류가 이렇게 다양하다고?
콜라의 기본 구성은 탄산수, 카라멜 색소, 카페인, 당류(주로 고과당 옥수수 시럽), 천연 및 인공 향료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소비자의 니즈에 따라 다양한 변형 제품들이 출시되어 왔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분류는 오리지널(레귤러 콜라), 다이어트/제로 콜라, 그리고 맛을 첨가한 변형 제품군입니다.
‘다이어트 콜라(Diet Cola)’는 1980년대부터 설탕 대신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등의 인공감미료를 사용해 열량을 낮춘 제품으로 인기를 끌었습니다. 그 뒤를 이어 등장한 ‘제로콜라(Zero Sugar)’는 당류 0g을 강조하며, 다이어트 콜라보다 더 깔끔한 맛을 추구한 제품으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바닐라, 체리, 라임, 복숭아 등 다양한 과일 맛을 첨가한 변형 콜라도 등장했고, 소형 브랜드나 수제 콜라 브랜드에서는 천연 허브나 스파이스를 더한 ‘크래프트 콜라’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또한, 건강을 고려한 무카페인 콜라(decaf), 콜라맛 기능성 음료 등도 소비자 맞춤형 제품으로 시장에 등장하고 있습니다.
콜라 시장은 얼마나 클까? 요즘 트렌드는?
2024년 글로벌 탄산음료 시장 규모는 약 6,100억 달러에 이르며, 그중 콜라류가 약 50% 이상을 차지합니다. 국내 탄산음료 시장 역시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약 2조 8천억 원 규모로 추정되고 있습니다(출처: Euromonitor,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aT).
콜라는 여전히 탄산음료 시장에서 부동의 1위지만, 건강 트렌드와 기능성 음료 열풍이 거세지면서 변화의 흐름도 감지되고 있습니다. 무설탕·제로칼로리 콜라의 판매량은 매년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MZ세대를 중심으로 ‘제로슈거’ 라벨에 대한 선호가 뚜렷해졌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반영한 콜라 브랜드의 움직임도 주목할 만합니다. 리사이클링 용기 사용, 식물 기반 포장재 개발, 저탄소 물류 시스템 도입 등 친환경 전략이 브랜드 이미지를 좌우하는 주요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들도 단순히 맛이 아닌 ‘가치 소비’를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이에 부합하는 콜라 브랜드의 차별화 전략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식품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과 감성 사이, 초코파이의 세계적 여정과 현재의 모습 (4) | 2025.04.26 |
---|---|
톡 쏘는 청량감의 비밀, 사이다의 모든 것 (1) | 2025.04.26 |
배홍동 비빔면, 매콤새콤 감칠맛의 정점을 찍다 (2) | 2025.04.25 |
기름기 없는 한 그릇의 혁신, 농심 컵누들 (2) | 2025.04.24 |
한국인의 입맛을 사로잡은 ‘맛있는 라면’의 정체,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5) | 2025.04.24 |